안녕하세요.
오늘은 하이퍼레져대해서 포스팅을 해볼까합니다
하이퍼레져라면 블록체인에 대해 조금만 공부를 해보신분이라면 한번쯤은 하이퍼레져가 무엇인지 들어 보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다들 하이퍼레져는 들어봤지만 하이퍼레져..? 프라이빗블록체인인데 그이상은 잘 몰라 라고 생각하시는 분이 많으실겁니다.
뒤이어 진행할 하이퍼레져 패브릭 네트워크 구성하고 구축하는 부분이 많이 까다롭지 정말 기본적인 개념은 어려운게 없다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블록체인을 접하실때 퍼블릭블록체인, 프라이빗블록체인, 컨소시움 블록체인 이렇게 들어보셨을거예요.
퍼블릭 블록체인이란것은 저희가 흔히 알고있는 비트코인,이더리움,이오스 등등 같은 블록체인을 말하는다는 것은 모든분들이 알고계시겠죠.
하지만 프라이빗이나, 컨소시움은 들어는 봤는데 그게뭐지? 하는 분들이 있으실건데 바로 이 하이퍼레져가 보통 프라이빗,컨소시움 블록체인이라고 불려지는 블록체인입니다.
보시는 그림과 같이 하이퍼 레져는 종류도 여러가지고 툴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기업들이 퍼블릭 블록체인을 쓰기 꺼려하는 이유중 대표적인것들이
- 높은 수수료
- 낮은 트랜잭셕 속도및 처리량
- 권한에대한 관리
- 자사의 프로젝트에대한 기밀성
가장 대표적이기 때문에 하이퍼레져같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을 도입하려는 기업들이 많아지고있어요.
하이퍼레져같은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가장 큰 장점이라 하면
- 허가를 받은 사람만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수있기때문에 기밀성이 유지되고 트랜잭션의 속도도가 빠름
- 운영과 참여의 주체가 명확하기 때문에 코인의 발행이 필요가없음(필요하다면 발행가능)
- 각각 참여자에 대한 권한 부여가능
- 채널이란걸 활용해 여러 기업의 컨소시엄구성가능
이러한 장점때문에 요즘도 금융권, 대기업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다고 기사를 본 기억이 나네요
프라이빗블록체인에서도 Fully Private Blockchain, Consortium Blockchain 두가지로 나눌수가 있어요
Fully Private Blockchain
-하나의 기관이나 기업 아래서 사용
-데이터 관리과 검증, 거래내역에 접근하기가 쉽고 중앙기관이 존재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지만, 중앙기관이 존재함으로 그저 분산된 데이터 베이스구조
-현재 시스템에 블록체인의 보안 검증성의 특징만 적용
Consortium Blockchain
-여러 기관 또는 기업이 하나의 그룹을 이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
-퍼블릭+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성격모두 적용
-각 노드에 특정 권한및 역할을 부여할수있음
바로 컨소시움 블록체인이 하이퍼레져가 추구하는 블록체인의 모델상이라고 보는게 제 주관적인 생각 입니다.
위에서 보셨듯 많은 하이퍼레져의 종류중에서도 저는 하이퍼레져패브릭(Hyperleder Fabric)에 대해 집중적으로 글을 쓸 예정이고,
최종 목표로는 간단하진 않지만 아래 있는 모든걸 실습해보고자 합니다.
1. 여러 서버에 각각 노드를 설치해 운영
2. 다중 orderer 구성
2. kafka, zookeeper 사용
3. docker-swarm 사용해 통신 -> 쿠버네티스까지도 발전가능
4. hyperledger-explorer(이더스캔과 같은 기능)라는 Dapp 개발
개인적으로 Hyperledger Fabric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MSP라는 멤버십 서비스를 통해서 각 노드에게 맞는 역할(인증)을 부여하고
그 역할에 맞는 일과 권한만 줄수있다는 점입니다.
그림을 보시면 채널1에는 노드A, 노드B가 속해있습니다.
노드A는 채널1에서 chaincode를 생성하고 invoke(쉽게말하자면 tx생성) 까지 할수 있는 권한이 있다면,
노드B는 tx를 읽는 권한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노드C는 채널2에서 chaincode를 생성하고 invoke(쉽게말하자면 tx생성) 까지 할수 있는 권한이 있다면,
노드A는 tx를 읽는 권한밖에 없습니다.
이런식으로 권한을 정해줄수가 있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아직 위 그림과 설명이 이해가 안가실수 있겠지만 다음글에서 Hyperledger Fabric의 각 구성요소를 뜯어서 설명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이퍼레져' 카테고리의 다른 글
hyperledger composer 튜토리얼 따라하기(2) (0) | 2020.03.08 |
---|---|
hyperledger composer 튜토리얼 따라하기(1) (0) | 2020.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