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오스

EOSIO를 사용한 지갑생성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EOSIO를 사용해 키를생성하고 지갑을 생성해보도록 하는 시간을 가질텐데, EOSIO를 생성한 지갑을 바로 메인넷에서 사용할수는 없습니다.

 

이오스의 지갑생성 방법의 과정을 보면

 

1. 개인키,공개키 쌍 생성

2. 12자리의 영문숫자 조합의 나의 ID와 키쌍을 연동

3. 현재 이오스 메인넷에 계정이 있는사람에게 허가받기

 

다른 암호화폐와는 다르게 이오스는 내가 지갑을 만들고싶다고 만들수있는게 아니라 현재 이오스를 사용하고 있는 아무 누군가에게 허가를 받아야만 비로소 이오스 메인넷에서 지갑으로서 사용할수있게됩니다.

 

이과정이 다소 복잡해 이오스의 지갑만드는걸 어려워 하시는분들이 있는데 생각보다 복잡하고 어려운 과정이 아니니 부담을 내려놓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럼 eosio를 사용해 지갑을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설치과정

 

https://github.com/EOSIO/eos 에 들어가서 git clone을 받아주세요. 맥 유저이신분들은 brew를 사용해 설치하셔도 무방합니다.

(git clone https://github.com/EOSIO/eos.git)

 

 

 

scripts폴더에서 ./eosio_build.sh 명령어로 eosio_build.sh 파일을 실행시켜주시고 build폴더에 들어가서 make test후 아무런 오류가 없다면 make install 명령어를 커맨드창에 입력해주세요

 

home폴더에 eosio라는 폴더가 생성되었고 그안에 앞으로 저희가 사용할 툴들이 들어있습니다. 앞으로 편하게 사용하시려면 환경변수까지 등록해주세요.

 

!!!!!! 맥유저는 brew install eosio한방이면 모든게 끝납니다.

 

cleos 명령어를 사용해서 지갑을 생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cleos wallet 명령어를 커맨드창에 입력했을때 나오는 옵션들입니다. cleos wallet list 명령어를 입력해보시면 아무것도 생성된 wallet이 아무것도 없는게 보이실거고 앞으로 생성해보겠습니다.

 

cleos wallet create -n minojswallet --to-console 

 

위 명령어를 입력하시면 minojswallet라는 지갑이 생성이되었고, 아래 패스워드가 출력되는데 저 패스워드는 절대 잃어버리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키를 생성해서 지갑과 연동시켜보겠습니다.

 

cleos create key --to-console

위명령어로 private key와 public key 하나의 키쌍이 생성되었습니다

 

cleos wallet import -n minojswallet --private-key "자신의 private key"

여기까지 해주시면 private key가 등록됐다는 메세지와 함께 월렛이 생성되었습니다.

 

cleos의 다른명령어를 살펴보시고 직접 사용해보시면 사용법에 대해 더 익숙해지실거예요.

 


위에서 생성한 지갑의 개인키를 다른 이오스 지갑을 가진 사용자에게 허락을 받아야 앞으로 이오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할수가 있습니다.

 

저는 주로 https://www.eosx.io/tools/account/create 여기서 계정을 생성하는데 보통 소정의 수수료를 받고 생성해주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내가 사용할 account 이름을 적고 공개키를 적어주면 신청대기상태가 되고 아래 signupeoseos 주소로 아래 메모를 넣어주고 이오스를 전송하면 이오스 지갑을 메인넷에서 사용할수 있게 됩니다.